ce93af725815873e7638addae6295e65_1752455187_1837.jpg

‘통증일기’ 표지. ©끌레마

【에이블뉴스 백민 기자】 “배제와 차별, 학대와 혐오가 만연한 세상에 살아남은 생존자, 나는 60대 장애 여성”이라고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는 박정숙 시인.

중증장애인으로서 숨고 도망치는 대신 드러내고 투쟁하는 삶을 선택해 온 자신의 여정을 시로 빚어낸 박정숙의 첫 시집 ‘통증일기’(저자 박정숙, 출판 끌레마, 188쪽, 정가 1만 5,000원)가 최근 출간됐다.

소아마비로 하반신 장애가 있는 박정숙 시인은 ‘저 몸으로 학교는 다녀서 뭐 하겠느냐’는 집안 어른들의 결정으로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하고 집안에서 갇혀 지냈다.

17세가 되던 해 같이 죽자던 아버지를 피해 목발을 짚고 홀로 산을 넘어 서울로 올라왔다.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도 생존을 위해 부단히 애쓰며 20여 년간 봉제 노동자로 살았다. 장애를 들먹이며 임금을 제대로 주지 않고 차별과 모욕을 일삼는 사업자들과 싸우고 쫓겨나는 일도 수시로 겪었다.

2013년에 ‘노들 장애인 야학’을 알게 되어 초·중·고를 검정고시로 졸업하고 장애인 권리 실현 단체인 ‘노란들판’에서 10여 년간 활동가로 일하고 있다.

박정숙 시인의 이러한 삶의 궤적을 알면 그가 시에서 밝힌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시인은 어린 시절부터 예순이 넘은 지금까지 ‘보이지 않는 존재’로 살라는 무수한 요구를 거부하고 자기 자신으로 살아내기 위해 존재 자체로 살아남기 위해 매일 투쟁하듯 시를 썼고 그 시들을 가려 ‘통증일기’를 내놓았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