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캔사스시티 미국 작업치료협회. ©이동욱
【에이블뉴스 이동욱 칼럼니스트】작업치료(Occupational Therapy)는 단순한 재활 서비스를 넘어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포용성을 높이는 핵심적인 전문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미국 작업치료협회(AOTA,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는 장애 정책의 변화 속에서 작업치료의 역할을 확대하고 있으며, 의료, 교육, 지역사회 전반에서 장애인의 자립과 참여를 돕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열린 AOTA 컨퍼런스에서는 장애 정책과 작업치료의 연계가 주요 화두가 됐다. 미국 장애인법(ADA), 장애 학생 교육법(IDEA), 메디케이드/메디케어 지원 정책 등 다양한 법안이 작업치료의 실제 적용과 서비스 제공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작업치료사들이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필요성이 강조됐다.

미국 작업치료협회 컨퍼런스 . ©이동욱
1. 장애 정책과 작업치료–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역할 확대
작업치료는 의료 시스템뿐만 아니라 장애 정책, 교육 제도, 공공서비스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정책 변화에 따라 작업치료의 역할이 확장되거나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AOTA는 작업치료사들이 장애 정책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미국 장애인법(ADA,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과 접근성 개선
작업치료사들은 장애인의 직장 및 공공시설 접근성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OTA는 ADA 준수를 위해 작업치료사들이 건축 환경, 직장 내 적응훈련, 공공시설의 보조기기 도입 등에 관여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수교육(IDEA)과 학교 기반 작업치료
미국 장애 학생 교육법(IDEA,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에게 개별화 교육 계획(IEP)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작업치료사들은 학교 내에서 감각통합치료, 필기 및 교실 참여 능력 향상, 보조기기 사용 교육 등을 지원하며, 포괄적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 정책과 작업치료 서비스 확대
미국의 공공 의료보험인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는 작업치료 서비스의 중요한 재정적 기반이다.
AOTA는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작업치료 서비스의 확대를 위해 정책 로비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원격 작업치료(telehealth OT)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제공 방식도 지원하고 있다.

미국 작업치료협회 컨퍼런스 모습. ©이동욱
2. 작업치료사의 역할 변화 – 정책 참여와 사회적 영향력 확대
AOTA는 단순히 치료 기법을 연구하는 기관이 아니다. 정책 입안자들과 협력하고, 장애인 권리 보호를 위해 목소리를 내며, 작업치료의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힘쓰고 있다.
정책 자문 및 입법 활동 참여
AOTA는 미국 의회 및 주정부와 협력하여 작업치료 관련 법안을 개발하고, 장애인 지원 서비스 확대를 위해 정책적 개입을 지속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AOTA는 원격 작업치료(telehealth OT)의 보험 적용 확대를 위한 입법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보조기기 및 접근성 기술 혁신 지원
작업치료사들은 보조기기(adaptive equipment) 사용 및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AOTA는 관련 연구 및 기술 발전을 지원하는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AI(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보조기기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작업치료사들이 기술을 활용한 치료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포용적 환경 구축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
병원과 재활센터를 넘어, 작업치료는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이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장애인의 주거 공간 개조, 직장 내 근무 환경 조정, 공공시설 접근성 개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작업치료사가 정책 실행에 기여할 수 있다.

미국 작업치료협회 컨퍼런스 장소. ©이동욱
3. 장애 정책과 작업치료의 미래 – 포용적 사회를 향한 방향성
AOTA는 장애 정책과 작업치료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발전시키고자 한다.
정책과 치료의 연계를 강화=장애 정책이 단순한 행정적 지원을 넘어, 실제 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AOTA가 지속적인 정책 자문을 수행한다.
디지털 기술과 원격 작업치료 확산=AI, IoT 기술을 활용한 보조기기와 원격 작업치료(telehealth OT)가 더욱 활성화되도록 관련 정책을 확대한다.
작업치료사의 정책 참여 확대=AOTA는 더 많은 작업치료사들이 정책 입안 및 공공 서비스 기획 과정에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교육과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장애 정책 속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 변화
작업치료는 더 이상 단순한 재활 서비스가 아니다. 사회적 변화와 장애 정책의 발전 속에서, 작업치료사는 포용적 환경을 조성하고,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가로 자리 잡고 있다.
AOTA는 장애 정책의 흐름을 면밀히 분석하며, 작업치료의 역할을 확장하고 장애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작업치료사들은 단순한 치료 제공자가 아닌, 장애인과 함께 사회적 변화를 만들어가는 주체로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참고 자료:
- AOTA 공식 웹사이트
-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
-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 Medicaid & Medicare Occupational Therapy Coverage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