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JTBC ‘사건반장’에는 초등학교 3학년 열 살 아들이 동급생에게 4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학교 폭력을 당했다는 학부모의 사연이 전해졌다.
제보자 A 씨의 아들 B 군은 생후 6개월 때 양쪽 눈 모두 무홍채증 진단을 받았고 5세 때는 합병증으로 오른쪽 눈에 녹내장 수술을 받은 시각장애인이라고 했다.

아이가 학폭을 당했다는 제보. ⓒjtbc
B 군은 시각장애 통합반에서 수업을 받았고 장애 사실은 담임교사와 학생들 모두 인지하고 있었다. B 군은 1학년 때부터 지금까지 아무 문제가 없었고 오히려 항상 칭찬받는 학생이었다고 했다.
그런데 3학년이 되면서부터 거짓말을 하고 말과 행동이 거칠어지기 시작했다. 코피를 자주 쏟고 자다가 소변 실수를 하기도 했다. B 군의 상태가 심상치 않다고 판단한 A 씨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물었지만 B 군은 이야기하지 않았다. 의심 가는 친구가 있었지만 A 씨는 아들이 먼저 말해주기를 기다렸다고 한다.

B 군이 학폭을 당했다는 그림. ⓒjtbc
A 씨가 같은 반 학부모로부터 학교폭력 사실을 전해 들은 건 지난해 12월 20일쯤이었다고 한다. A 씨는 B 군이 얼마 전 ‘학교에서 훈련이라는 걸 한다.’라고 말한 사실이 생각났다. B 군이 말한 ‘훈련’이 사실은 학교 폭력이었다.
B 군에게 훈련을 시킨 C 군은 지난해 전학 온 동급생이었다. C 군은 쉬는 시간마다 벽에다 세워 놓고 손을 들라고 한 다음 '뱃살 빼고 싶냐' '버티는 거야'라면서 배를 세게 쳤다고 들었다. 투명 의자 같은 걸 시키고 아래에다가 연필을 최대치로 깎아서 뾰족하게 손으로 받치고 있으면서 컴퍼스나 이런 걸 이용했다고 한다.

다른 피해자 증언. ⓒjtbc
C 군은 B 군을 일어나지도 못하게 하고 B 군이 우는데도 앞에서 웃었다고 하더라. 다리 찢기, 팔 굽혀 펴기도 시켰다고 했다. 아이가 '하기 싫다'라고 하면 '절교하겠다'라고 해서 이야기를 못 한 것 같다고 했다.
C 군은 같은 반 친구들에게 등급을 매겼고 B 군에게는 '쓰레기'라고 불리는 가장 낮은 등급을 부여해 반 아이들에게 말하고 다녔다며 다른 피해 아이들도 있다고 했다.

가해 아동 부모는 유명한 무용수. ⓒjtbc
다른 아이들도 C 군이 가장 힘이 세고 자기들은 힘이 약하다고 했다. 그래서 C 군이 주먹과 발로 심하게 때렸다고 했다.
A 씨는 뒤늦게 C 군이 시각장애 아이 B 군뿐 아니라 다른 아이들도 심하게 때리고 못 살게 굴었음을 알게 되었다. C 군의 부모는 유명한 무용수라고 했다. C 군에게 얻은 맞은 피해자가 7명쯤 되는데 C 군의 부모가 얼마나 유명한 사람인지 모두가 발을 뺐다.
A 씨는 가해 아동 C 군을 신체적, 정신적 폭력 및 가혹행위와 협박 등으로 학교 측에 신고했다고 한다.

가해 아동 부모는 학폭은 아니라고 했다. ⓒjtbc
C 군의 부모는 "피해 아동(제보자 자녀)과 단짝 친구였는데 (아들이) 지금 굉장한 배신감을 느끼고 상처를 많이 받았다. 학폭이라고 얘기하기에는 아무것도 아닌 일이라면서 "우리 아이도 맞은 적이 있다고 하더라”라며 A 씨와 아동을 학폭으로 맞고소했다고 한다.
사건반장에서는 A 씨의 제보를 받았지만, C 군의 부모가 자기 아들도 맞은 적 있다고 해서 사실을 알려 달라고 했더니, 아들에게 물어보고 연락 주겠다고 하더니 C 군 부모 전화가 아니라 어떤 국회의원이 전화를 해서 방송을 하지 말아 달라고 하더란다.

국회의원의 전화가 왔다고 한다. ⓒjtbc
B 군이 학폭 사실을 여러 가지 그림으로 보여 주었는데 시각장애인이 이런 그림을 그리고 글씨를 쓸 수 있다는 것은 전맹은 아닌 모양이다.
아무튼 A 씨는 아들이 이상하다고 생각하면서도 무엇을 기다린 것일까?
가해 아동 부모가 얼마나 유명하기에 현직 국회의원이 방송하지 말라는 전화까지 했을까?
피해 아동이 시각장애인이므로 어머니는 시각장애인연합회 혹은 장애인 인권 단체 등에 자문을 구해 보는 것은 어떨까 싶다.
A 씨가 학폭으로 고소를 했고 가해 아동 부모도 맞고소를 했다고 한다. 가해 아동 부모가 유명한 무용수라 국회의원이 전화를 할 정도라면 우야무야 넘어가지는 않을까 싶다. 더구나 열 살이면 촉법소년인데 어떻게 처리가 될까?
*이복남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하사가장애인상담넷(www.gktkrk.net)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